창업

돌다리 이론 적용시켜보기

WooKGOD 2023. 8. 30. 20:13
반응형

내 상품에 대한 돌다리 이론을 적용시켜볼까 한다.

이전 글에서 2개의 상품, 서비스를 생각했지만 좀 더 파보고 싶은 뉴스 키워드 전송 서비스에 대해 생각해보려 한다.

 

뉴스 키워드 서비스

인지

채널 : 페이스북, 네이버, 구글, 타 앱

광고 : 검색 최적화, 오픈 카톡, 당근마켓 혹은 지역 앱에서 수요 조사 및 광고

 

호기심

채널 : 웹사이트, 페이스북, 네이버, 구글, 타 앱

광고 : 카피라이팅, 이미지, 영상을 활용( 왜 필요한지 카피라이팅과 이미지, 영상을 통해 어필하는 단계)

 

몰입

채널 : 웹사이트의 상세페이지, 웹사이트 전체

광고 : 카피라이팅, 이미지, 영상(어떤 식으로 키워드가 보내지는지 시각화 자료를 고객에게 노출)

 

의심

채널 : 웹사이트 내 후기, 뉴스 포털, 네이버, 구글

광고 : 초기 고객들의 이용을 기반으로 한 후기를 노출, 필요하다면 관련 기사 제보, 초기 무료로 서비스를 이용하고 후기를 받는 식으로 진행

 

욕구

채널 : 웹사이트 서비스 상세페이지

광고 : 무료 이용 기간 노출, 할인 기간, 추천 시 한달 연장 같은 시스템 이용

 

보류

채널 : 웹사이트 상세페이지

광고 : 할인 기간을 일주일이상으로 잡아 고객이 이후에 다시 구매할 수 있도록 유도, 고객이 이메일 정보를 남기면 차후 할인 기간을 연장해주는 시스템 활용

 

재방문

채널 : 네이버, 구글, 페이스북

광고 : 고객들의 이메일 또는 전화번호를 기반으로 광고를 진행 차후 가능하다면 소셜 광고까지 추가로 진행

 

구매

채널 : 웹사이트 상세페이지

광고 : 사이트 결제 시스템 최적화 (키워드 서비스의 경우 저렴하기 때문에 신용카드 보단 토스페이나 카카오 페이, 네이버 페이 이용이 좋을 것으로 보임)

 

재구매

채널 : 웹사이트 상품 구매페이지

광고 : 리타케팅(문자, 이메일 이용), 추천인을 통한 연장 기능, 연간 구독 시스템 추가

 

추천

채널 : 웹사이트의 상세페이지, 고객의 개인 소셜 채널, 고객의 네트워크

광고 : 고객들의 자발적인 후기 및 추천, 오픈 카톡등의 커뮤니티 활성화

반응형